김미영 개인전 《WET on WET》



조아라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

Ara Jo (Curator of Seoul Museum of Art)





기차의 창문으로 스쳐간 풍경, 음식의 맛과 질감, 시원한 바람이나 산책길에서의 기분 등 일상에서 한 번쯤 지나쳤던 순간을 직관적으로 담아내는 작가 김미영의 회화는 자유로운 붓질과 색의 흐름을 따라가게 함으로써 보는 이의 기억과 감각을 생생하게 소환한다. 특히 붓의 움직임이 남긴 흔적과 강렬한 색의 유화 물감이 뒤섞이며 만들어낸 마티에르가 화면 전체를 빈틈없이 채우고 있는 그녀의 최근 작업은, 눈으로 표면을 만져가는 듯한 촉각적인(haptic) 시각을 이끌어낸다. 



이번 김미영의 개인전 《WET on WET》은 전시 제목이 말하듯, 화면의 물감이 마르기 전에 새로운 물감을 덧입히는 기법인 웻온웻 페인팅(wet-on-wet painting)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작품 20여 점으로 구성된다. 그녀가 웻온웻 기법을 시도했던 초기작들은 지나간 붓터치 하나하나가 어느 정도 살아있도록 한 작업이었으나,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에서는 보다 과감하게 이전 형상을 밀어내거나 드러내고, 덮거나 긁어낸 제스쳐들이 강하게 느껴진다. 기법적 특성상 물감이 완전히 마르기 전에 작품이 완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직관적인 판단과 우연적인 효과들이 작품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작가가 영국에서 수학하기 이전 동양화를 전공했다는 점은 이러한 기법을 보다 능숙하게 변주할 수 있도록 만든 기반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동양화에서의 빠르고 결단력 있는 붓질과 농담 조절, 색이 번져나가는 효과 등은 유화의 웻온웻 기법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듯 김미영은 예기치 못한 효과들을 포용하며 이전의 물감이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긋고, 펴고, 덮고, 흘러내리게 하는 방식으로 캔버스 전체를 채워나가는 과정을 통해 그녀 특유의 추상성을 더해나간다. 특히 <Pepper Lunch>(2016), <Raspberry and Mint>(2016), <Orange Breeze>(2017) 등과 같은 작품의 경우 소리나 촉감, 맛과 향기까지도 연상하게 만드는데, 시각적 자극을 통해 다른 종류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이러한 특징은 색채와 음악 소리의 상관관계를 강조했던 20세기 초 오르피즘(Orphism) 작가들의 추상화를 떠올리게 한다. 



김미영의 회화가 다른 감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특징 외에도 더욱 비중 있게 살펴보아야 할 점은, 그녀가 전통적인 회화의 질서를 전복시키는 실험을 지속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수많은 레이어로 이루어진 작품을 자세히 더듬어 들어가다 보면, 작가가 짙은 색을 먼저 칠하고 옅은 색을 쌓아 올림으로써 먼저 존재하고 있던 색에 다른 색이 개입하는 과정을 과감히 드러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화는 밝은 색을 먼저 칠하고, 점차 진한 색의 물감을 보다 정교한 붓질로 쌓아가면서 형태를 견고하게 만들어나가는 방식을 택하는 데에 반해, 김미영은 반대의 순서를 택하여 형상을 무너뜨리고, 색채가 섞이는 현상을 두드러져 보이도록 만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숲이 연상되는 <The Painter’s Grove>(2017)에서와 같이 언뜻 그림자나 배경으로 상상되기 쉬운, 즉 물리적으로 가장 뒤로 가 있어야 할 어둡고 짙은 색들이 사실상 가장 볼륨감 있게 튀어나와 있는 경우 또한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처럼 직전의 행위를 방해하거나 관습적인 사고 패턴을 파괴하며 얻어내는 전복적인 효과는 김미영의 작품을 단순히 아름다운 색채의 향연 정도로만 간주할 수 없게 만든다. 또한 중심과 주변의 위계나 명확한 구심점 없이 올오버(all-over) 구도로 이루어진 그녀의 화면은 2차원으로서의 회화가 지닌 평면성이 강조되어 있으면서도, 리듬감 있는 제스쳐들이 사방으로 무한히 확장될 것만 같은 느낌을 준다.  



지나쳐가는 일상의 순간이 닫혀있던 감각을 열어주는 영감의 원천임을 깨닫게 되었다고 말하는 작가는, 사회적인 서사보다는 사사로운 경험을 담아내는 것에 집중하면서부터 표현 방식이 자유롭고 과감해졌으며, 형태를 부수는 시도 또한 적극적으로 변했다고 회고한다. 즉, 주제적인 변화가 조형 언어의 변화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자유로운 상상과 경험을 가능케 하면서도 색과 선, 면, 리듬 등의 조형 요소 그 자체에 집중하게 만드는 힘은 추상 회화가 갖는 특유의 힘이다. 김미영의 회화에서 느껴지는 다양한 속도는, 마치 기억이 떠올랐다가 사라지는 속도와도 같다. 바람이 불거나 햇살이 가득한 날씨, 꽃이나 과일의 향기, 나아가 설렘이나 어지러움과 같은 감정까지 수많은 이미지와 무드가 복합적으로 일렁이다가 사라지는 현상은 눈으로 그녀의 추상적 제스쳐를 따라가면서 느낄 수 있는 독특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작가의 경험을 관람자에게까지 전달해내는 힘뿐만 아니라, 색채 간의 배합이나 기법과 구도 등, 화면 속에서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구축해가는 실험에 있어서도 결코 느슨한 부분이 없다는 점은 그녀의 작품을 주목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드는 이유이다. 많은 신작들이 선보여질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가 건네는 이야기와 그간 쌓아온 실험들이 관람객들에게도 충분히 전해질 수 있기를 바란다. 




Meeyoung Kim solo exhibition ‘Wet on Wet’


Ara Jo (Curator of Seoul Museum of Art)


Paintings by Meeyoung Kim who intuitively captures moments of passing landscapes seen through the window of a train carriage, tastes and textures of foods, fresh breezes and feelings from walking trails, convivially summon the viewer’s memories and senses following the flows of free strokes and colors. Her recent works filled with traces left by her brush movements and matieres created from oil colors covered and intermixed, turn into haptic views as it is like an eye that senses the surfaces. 


Entitled as Wet on Wet, Meeyoung Kim’s exhibition is composed of 20 paintings of hers that vigorously adapt wet-on-wet painting technique that covers the surface with fresh new paints before the previously administered layers are fully dried off. Whereas her early works in which she attempted the wet-on-wet technique tend to have brush strokes more distinctively, her new works in the exhibition seem to show her gestures thrust, expose, cover and scratch former shapes further fiercely. Along with the particular technique that the works have to be completed before the paints on the canvas are all dried, her intuitive decisions and coincidental effects become imperatives. It would not even be exaggerating to say that the fact the artist has majored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 before studying in the UK is a foundation that enables her to skillfully improvise such technique. The swift but decisive brush strokes, the gradation of tones and the color spreading effect in the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seem to be highly related to the wet-on-wet technique used in the oil color paintings. 


In this sense, Meeyoung Kim intensifies her idiosyncratic abstractness through the process of fill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canvas with scratching, spreading, covering, and dribbling when the paints are still wet, embracing the unexpected effects. Particularly, Pepper Lunch (2016), Raspberry and Mint (2016), Orange Breeze (2017) cause one to remind of certain sounds, textures and tastes. The characteristics of her paintings in which disparate senses are stirred up through their visual effects would recall Orphism artists’ abstract painti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at accent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s and sounds. 

 

Apar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her paintings that provoke diverse senses, she maintains her experiments by subverting the traditional rules of paintings. Looking into her works with sheer layers, one can recognize that the artist attempts to resolutely show the intervening process of a color into existing layers by putting darker colors first and covering lighter colors upon it. In oil color painting in general, the lighter color goes first and then darker colors with more durable brush strokes are laid upon it to elaborate shapes. However, Kim chooses the contrary order to dismantle forms as well as to accent the colors that are mixed and combined. In addition, one can discover dark colors that are supposed to be laid on the back of the surface and recognized as shadows or backgrounds becomes voluminously arisen like in The Painter’s Grove which reminds of the rainforest. The subversive effects acquired through repudiating conventional thinking logics or interfering with the previous traces on the surface would not make one consider Kim’s paintings as a mere banquet of beautiful colors. Besides, her surfaces of the all-over composition, without the order of center and the periphery or the idea of addressing the center, not only highlight the flatness of paintings as two-dimensional media but also allow imagining her rhythmical gestures to expand in all directions. 


Speaking of daily moments that pass by and unfold her previously enclosed senses, the artist recalls herself that the moment of capturing trivial experiences rather than investigating social narratives emancipated her to obtain her expressing ways to be freed and resolute as well as to decidedly try to break existing forms. Thus, she highlights that the changes in her subject matters are acutely relate to the changes of her formative languages. The power of abstract painting is to concentrate on figurative elements such as colors, lines, membranes, and the rhythms amongst the elements, as well as to activate one’s imagination and experiences. The different speeds in Kim’s paintings resemble the speed of memories coming around and going. The phenomenon of sheer images and moods caused from the breezy or sunny weather, the flower and fruit scents, moreover thrilling, puzzled feelings that intricately fluctuate and then disappear is a peculiar experience that one can have by following her abstract gestures with a bare eye. In this sense, she would never become loose in maintaining the powerful skill to deliver the artist’s experience to the viewer and in doing her experiments that build her own formative languages in the frame such as the combination of colors, techniques and compositions, which could be the reasons for us to pay our close attention to her works. I hope her sheer layers of experiments and stories to tell can be abundantly conveyed through the exhibition filled with her new, exceptional pieces.